2025.04.05 (토요일)
총회/기관 지방회 화제&인물 특집 선교&신앙 목회&교육 열린광장 오피니언 교계&문화  
전체보기
논단
칼럼
시론
사설
특별기고
 
 
뉴스 홈 오피니언 사설 기사목록
 
자기부인을 통하여 역설적인 은총을 체험하는 한 해가 되기를
자기부인을 통하여 역설적인 은총을 체험하는 한 해가 되기를
2011-01-20 오후 3:36:00    성결신문 기자   


성경에는 여러 가지 역설적인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다. 역설을 단순히 말장난 정도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역설에는 역설을 해석하는 원리가 담겨있다. 그렇다면 역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식물의 풍성한 열매를 얻기 위해서는 뿌리를 강화시켜야 하듯이 역설을 이해하려면 간접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 참된 가치는 직접적인 노력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것들이 아니다. 기쁨과 행복이나 안식 등은 직접 취하려고 하면 잡을 수 없는 것 들이다.

본능은 이런 것을 직접 취하라고 사람의 판단력을 흐리게 한다. 그래서 기쁨이 아닌 쾌락에 빠지고 행복이 아닌 조건으로 치장하게 되며 안식이 아니라 권태에 빠지게 된다. 참된 가치란 각 사람이 자기에게 주어진 사명을 충실히 수행할 때 얻어지는 간접적인 것이다. 그리고 역설은 반드시 과정을 겪어야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잃으려고 하는 과정을 충실히 수행하다 보면 얻게 되고 낮아지려는 과정을 진실 되게 수행하다보면 어느새 높아지게 된다.

모든 역설은 그 과정을 강조한다. 과정을 겪지 않은 사람은 역설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 “자기 목숨을 구원하고자 하면 잃게 되고, 잃으려고 하면 찾게 된다.”(마16:25)는 말씀처럼 참된 생명을 얻기 위해서는 목숨에 연연하지 않는 자세로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자기를 낮추는 자는 높아진다.”(마23:12)는 말씀도 자기를 낮추려는 시도를 하는 과정 속에서 결과적으로 더 높아진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는 것이다.

겨울에 산에 올라가 아래의 아름다운 풍경을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걸어서 올라가야 한다. 걸어서 올라갈 때 온 몸에 열이 난다. 그 열기가 있으면 영하의 날씨에도 산 아래의 경치를 구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차를 타고 올라가 경치를 구경하기 위해 밖으로 나오면 추위를 감당하지 못해서 도로 차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산에 걸어가야 경치를 즐길 수 있다는 말은 경험하기 전에는 역설로 들리지만 경험한 사람에게는 단순한 사실일 뿐이다.

자기부인(否認)은 역설적이다. 다니엘의 세 친구들은 우상에게 절하지 않고 불속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불에서 다시 나오는 기적을 체험하지 않았는가? 자기부인이 역설적으로 생명의 기적을 맛보게 한 것이다. 자기부인이 있어야 하나님께서 역사하신다. 현대인은 모두가 바쁘다. 자기부인 없이는 주일성수가 불가능하다. 세상에 돈이 넉넉한 사람은 없다. 자기부인이 있는 사람만이 십일조와 헌금생활을 할 수 있다. 자기부인 없이 새벽에 일어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자기부인의 삶을 살다보면 하나님이 채워 주시는 은혜를 체험하게 된다.

시간을 포기하는 주일성수, 돈을 포기하는 헌금생활, 잠을 포기하는 새벽기도는 모두 자기를 부인하지 않고는 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그 결과는 잃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얻게 되고 자기부인을 통해서 오히려 더 풍성하게 채워진다. 역설적인 축복은 삶의 과정을 통해서만 가능하게 되는 행동원리인 것이다. 2011년 새해에 교단 적으로 자기를 부인하고 말씀대로 사는 운동을 전개해 보자. 역설적이고 신비한 은총을 반드시 체험하게 될 것이다.

기자 : 성결신문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전체 0   아이디 작성일
 
의견쓰기
 
기도하여 내 얼굴을 구하면 하늘에서 듣고 그 땅을 고칠지라
사중복음의 깃발아래 성결운동을 확산시켜 나갑시다
사설 기사목록 보기
 
  오피니언 주요기사
성결대학교 총장선출에 즈음하여..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의 논..
이슬람의 확산을 경계해야
교단적인 입장표명 결의를 환영..
은급재단 관계자들의 책임있는 ..
성결운동이 활성화되기를
神前意識을 가지고 살자
총회의 결의는 존중되어야 한다
 
 
가장 많이 본 뉴스
  사 설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110-091]서울시 종로구 행촌동 1-29ㅣ대표전화 : 070-7132-0091ㅣ 팩스 : 02-725-7079 ㅣ등록번호: 서울 다 50663
발행인: 김만수 ㅣ사장: 강병익 | 편집인: 권순달
Copyright ⓒ 2009 SK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sknews12@daum.net